2. 알파벳 A로 시작하는
애니메이션 용어 알아가기(2).
안녕하세요~
그림쟁이 kiki 82 입니다. ^^
우리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용어에
대해서 알아가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은 알파벳 A로 시작하는 애니메이션
용어 중에서 Animation Director,
Animation Folder, Anticipa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nimation Director ( 애니메이션 감독 )
영화 감독과 같은 업무를 하는 애니메이션 감독
업무는 해외하청 (OEM)시와 창작시, 감독
업무는 천지차이입니다.
먼저 OEM시 감독의 업무는
콘티와 타임 시트를 바탕으로 그 후반 전체
작업을 담당합니다.
레이아웃, 원화, 동화, 배경, 카메라 워크,
애니메이션 작화 후 액션, 타이밍 체크와 수정,
효과 지시. 등등..
창작시 감독의 업무는
OEM시 업무 + 콘티와 타임 시트까지 모두 해야하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볼까요 ^^
감독은 스토리 전체를 혹은 특정한 시켄스 (sequence)의
진행 계획 (planning)을 결정한다.
그 가운데에는 수분간 계속되는 시켄스가
있기도 하지만, 감독은 이것들을 조립해서 하나의
장면 (scene)을 만든다.
각각의 장면에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필요하고
액션은 어떤 여백 (공간)에서 전개되어
갈 것인가?
관객의 흥미를 끌어 잡아두기 위하여 어떤
여백 (공간)에서 액션이 전개되어야 하는가를
감독은 결정해야한다.
또한, 개개의 액션이 문제가 되었을 경우에
그 책임은 감독과 애니메이터로 양분되는 것이지만
전체적인 지휘는 감독이 한다.
그럴지라도 애니메이터 (원화맨, 동화맨)는 특정한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아이디어를
짜내지 않으면 안된다.
마치 배우가 연기할 때 그러하듯이 가장 작은 단위
즉 각 그림이나 프레임 (frames) 등은
애니메이터의 직분인 것이다.
콘티와 타임 시트, 작업 시
감독은 한정된 시간 속에서 어떻게 액션을 맞추어
나갈까를 생각하며 스토리를 적당한 길이의
부분 즉 각 시켄스를 나눈다.
그리고 스토리의 중요 포인트 전부를 흡수할
때까지 그들 각 시켄스를 마음속에 몇
번이고 외워둔다.
그다음에는 다시 한번 각 스켄스를 읽은 다음
스톱워치 (stopwatch)를 써서 머릿속으로
각 길이를 재어본다.
그리고 나서 그 시간들을 합쳐 전체에 필요한
시간을 끌어낸다.
영화 전체의 시간 검토가 끝나면,
이번에는 보다 구체적인 시간 배분을 하고
그것을 특별히 만든 타임 시트에 기록해 넣는다.
타임 시트는 악보의 오선지와 비슷하여 몇 개의
수평선이 그려져 그 사이에 액션, 대사, 효과, 음악
등의 기입란으로 되어있다.
감독은 동작의 타이밍에 관심을 두고 속기법으로
악보를 기록하듯이 해당 칸에 써 넣는다.
타임 시트 상의 수평선은 16프레임 씩 굵은
선으로 구획되어있다.
참고 사진을 한번 볼까요. ^^
감독은 각 장면 (scene)에서 어떤 액션이
행해지는가를 결정한 후
그 이야기 진행에 대해서도 계획을 짜고,
이야기를 가장 잘 전개하기에는 어디에서 어떤 카메라
워크 (전후로 촬영, 수평, 수직으로 움직임 등)
와 효과 (장면 전환 효과, 자연물 효과 등)를 써야
할지도 생각하고 결정해야 한다.
감독은 그림이 없는 시점에서 이미지만으로
시간의 배분을 하는 많은 경험이
요구되는 것이다.
타임 시트 상에 아이디어를 적어 넣어가는 것은
영화에서 하는 대로라면 스토리를
엮어가는 것과 같은 것이다.
감독은 스토리를 머릿속으로 몇 번이고
반복하여 외워두어야 된다.
그리하여 스토리의 어느 부분과 다른 부분을
드라마의 흐름 속에서 관계 지어 간다.
동시에 처음으로 그리고 한번 밖에 보지 않을
관객에 대하여 이 영화가 어떤 효과를
줄 것인가를 끊임없이 판단해 가지 않으면 안 된다.
Animation Folder ( 애니메이션 폴더 = 카트 봉투 )
애니메이션 각 신 (scene)마다 레이아웃 작업 용지와
타임 시트, 원화, 동화 작업 용지,
셀 등을 담아두는 봉투.
카트 봉투 앞쪽에는
레이아웃, 원화맨의 싸인과 씬 (SCENE)번호, 배경 (BG)과
OL, UL의 번호, 배경 부나 촬영 부에 지시 사항이나
수정 사항 등등을 적는다.
동화 부에서는
동화 매수를 적는다.
참고 그림을 한번 보시면
확실히 이해하실 거예요 ^^
카트 봉투 (Animation Folder) 는
애니메이션 작품별, 시리즈 별로 색을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Anticipation ( 준비 동작/ 예비 동작 )
어떤 동작을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표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말함.
예를 들어,
오락실에서 펀치 볼을 칠 때,
몸과 주먹을 뒤로 한껏 제쳤다가 치지요.
뒤로 제치는 동작이 바로
준비 동작입니다. ^^
이 외에도 많은 준비 동작들이 있는데,
야구에서의 타자가 공을 칠 때,
도끼로 나무 장작을 칠 때. 등등
2번이 준비 동작.
또 뭐가 있을까요? ^^
캐릭터가 무엇을 하려는 액션을 할 때
준비 동작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모든 동작에 준비 동작을 다 하는 건 아닙니다.
권투선수가 시합할 때
준비 동작을 하면 될까요? ^^
자세한 설명은
애니메이션 알아가기 시간에
참고 그림과 함께 알아가보겠습니다.
애니메이션은 항상
생각하고 관찰하며 연구해야 합니다.
그냥
대충이란 없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 ^^
끝!
kiki 82 - 손그림, 일러스트(illustration), 스케치(Sketch), 드로잉(Drawing), 애니메이션(Animation) = 낙서 ^^
'애니메이션 = animation > 애니메이션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알파벳 B로 시작하는 용어 알아가기2 [캐릭터 앤 디자인세상]kiki82 (0) | 2016.04.20 |
---|---|
[애니메이션 용어]5.알파벳 B로 시작하는 용어 알아가기 [캐릭터 앤 디자인세상]kiki82 (0) | 2015.12.03 |
[애니메이션 용어] 4. 알파벳 A로 시작하는 용어 알아가기(4) [캐릭터 앤 디자인세상] (0) | 2015.11.05 |
[애니메이션 용어] 3. 알파벳 A로 시작하는 용어 알아가기(3) [캐릭터 앤 디자인세상] (0) | 2015.10.26 |
캐릭터 앤 디자인세상 - 애니메이션 용어 알아가기 1. 알파벳 A (1) (0) | 2015.08.04 |